본문 바로가기
재테크•금융 상식

주식 진짜 완전 초보③ - PER이 뭔지도 모르고 주식하신다고요? 이 글 3분이면 이해됩니다

by free600 2025. 3. 27.

PER는 주식 가격이 비싼지, 싼지 알려주는 숫자입니다.

주식 투자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드는 생각,

“이 주식, 지금 사도 될까?”
“너무 비싼 거 아니야?”
“이 회사는 돈 잘 벌고 있는 걸까?”

 

이런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이죠.

누군가는 차트만 보고 사고팔고, 또 누군가는 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지금 주가가 어떤 수준인지 따져봅니다.

이때 꼭 등장하는 숫자가 있어요. 바로 PER(주가수익비율)입니다.

PER은 아주 간단하게 말해서 “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, 지금 주가가 싼가? 비싼가?” 를 판단할 수 있는 핵심 지표예요.

하지만! 단순히 숫자만 보면 오히려 잘못 해석할 수도 있어요. 그래서 오늘은 PER이 무엇이고,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,
진짜 쉽게 설명해드릴게요.

 

“PER이 뭔지도 모르고 주식하신다고요? 이 글 3분이면 이해됩니다

 

1.  PER (주가수익비율: Price to Earnings Ratio ) 

 

 

PER은 ‘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, 지금 주식값이 비싼가?’를 알려줘요.

 

PER = 주식 가격 ÷ 1년 이익

 

🔍 예시
A회사는 1년에 주당 1만 원을 벌어요.
근데 그 주식 가격이 10만 원이면?
👉 PER은 10이에요. (10만 ÷ 1만)

즉, "이익으로만 보면, 투자금 회수까지 10년 걸린다"는 뜻이에요.

  • PER이 낮으면: 이익에 비해 주가가 싸다 → 저평가된 기업일 수도
  • PER이 높으면: 미래에 많이 벌 걸로 기대된다 → 성장주일 수도    

 

 

2.   PER 판단 기준 – 이 숫자 하나만 보면 안 된다!

1)  동종 업종 평균 PER과 비교해야 해요.  

IT/반도체 12~18
제약/바이오 30~50
은행/금융 4~8
음식료 10~15

🔍 예시

  • A회사의 PER = 25
  • 그냥 보면 "좀 높은데?" 싶지만,
  • 이 회사가 바이오 업종이라면? → 오히려 평균보다 낮을 수 있어요!

📌 무조건 숫자만 보고 싸다/비싸다 판단하면 위험해요!
 ‘같은 분야 기업’들과 비교해야 정확합니다.

 

2) 미래 성장성 있는 기업은 PER이 높을 수도 있어요.

 

PER이 높다는 건, 지금 이익에 비해 주가가 비싸다 → 미래에 많이 벌 거라는 기대

 

🔍 예시

  • 테슬라 PER은 한때 1000 넘었어요 (!)
  • 지금 돈은 별로 못 벌지만,
    미래 성장 기대가 반영된 거죠.

📌 그래서 PER이 높다고 무조건 비싸다고 말하면 안 돼요.

 

3)  PE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.

 

낮은 PER = 저평가?
맞을 수도 있지만, 이럴 수도 있어요:

  • 실적이 갑자기 줄어드는 기업
  • 사업 구조가 오래되고 성장성 없는 회사
  • 문제 있는 기업 (적자, 부채 많음 등)   

이런 회사는 시장에서 외면받아서 PER이 낮은 걸 수 있어요.

 

🔍 예시

  • 어떤 회사 PER이 3이다?
    → 싸 보이지만, 앞으로 이익이 급감할 수도 있어요.

 

4) PER은 ‘예상 이익 기준’인지 ‘실적 기준’인지 확인해야 해요.

  • 실적 기준 PER: 작년 실제 순이익으로 계산
  • Forward PER(예상 PER): 애널리스트들이 예측한 내년 순이익 기준

Forward PER이 낮으면
→ 시장이 “이 회사 내년에 많이 벌겠네!”라고 보는 것

 

 

3. 상황별 PER 해석


업종 평균보다 낮음 저평가 가능성 O
업종 평균보다 높음 성장 기대감이 반영
PER 낮고, 실적 꾸준 투자 매력 ↑
PER 낮고, 실적 불안 함정일 수도! 주의 ⚠️
PER 높고, 미래 성장 업종 기대감 OK

PER만 보지 말고, "이 회사가 왜 이 숫자인지"를 생각하세요!

  • PER = 가격 ÷ 이익
    → 숫자만 보면 안 되고, 그 숫자가 나온 배경을 보세요.

PER을 진짜 잘 쓰는 투자자  숫자 + 업종 비교 + 성장성 + 재무 상태까지 같이 봅니다.

 

 

" PBR 낮다고 덥석 사지 마세요." 그 숫자에 숨은 함정, 다음 글에서 풀어드릴게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