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재테크•금융 상식

주식 진짜 완전 초보② - 주가는 왜 오르락내리락할까? 주가 변동 이유 정리

by free600 2025. 3. 26.

주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 – 환율과 금리

주식 투자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궁금해지는 것이 있습니다.
바로 "주가는 왜 오르락내리락할까?", 그리고 "경제 뉴스에서 말하는 금리나 환율은 내 투자에 어떤 영향을 주는 걸까?" 라는 질문이죠.

오늘은 초보 투자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환율과 금리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예시와 함께 설명해드릴 테니 천천히 읽어보세요!

 

"주가는 왜 오르락내리락할까?

 

1. 금리란 무엇인가요? 그리고 주가와 무슨 관계일까요?

 

금리는 돈을 빌릴 때 내는 '이자율'입니다.
쉽게 말해, 은행에서 대출할 때 내는 이자 또는 예금할 때 받는 이자죠.

 

✔ 금리가 오르면?

  • 대출이자도 올라요 → 기업과 개인이 돈을 덜 씀
  • 소비와 투자가 줄어요 → 기업 실적이 나빠짐
  • 주식보다 예금이 더 매력 있어짐 → 주식시장에 돈이 빠져나감 → 주가 하락 가능성

예시:
2022년 미국 연준이 급격히 금리를 올렸을 때, 나스닥 지수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.
특히 IT 기술주 중심으로 조정이 컸죠.

 

✔ 금리가 내리면?

  • 대출이자↓ → 돈 쓰기 쉬워짐
  • 소비와 투자가 늘어남 → 기업 실적 개선
  • 예금 이자↓ → 투자자들이 주식으로 이동 → 주가 상승 가능성

예시:
2020년 팬데믹 직후 전 세계적으로 금리를 인하하자, 코스피가 2,000선에서 3,000까지 상승했죠!

 

 

2. 환율이란 무엇인가요? 주가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?

 

환율은 우리나라 돈(원화)과 외국 돈(보통 미국 달러) 사이의 교환 비율을 말해요.

 

예를 들어 1달러 = 1,400원이면,
한국 사람이 1달러짜리 물건을 사려면 1,400원이 필요하다는 뜻이에요.

 

✔ 환율이 오를 때 (원화 약세, 달러 강세)

  • 1달러를 바꾸기 위해 더 많은 원화가 필요 → 원화의 가치가 떨어진 것
  •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같은 제품을 팔아도 달러로 더 많은 원화 수익을 얻을 수 있어서 유리해요.

예시:
삼성전자가 미국에 1,000달러짜리 스마트폰을 팔았다고 가정해볼게요.

  • 환율이 1,100원일 땐 → 1,000달러 × 1,100 = 110만원 수익
  • 환율이 1,400원일 땐 → 1,000달러 × 1,400 = 140만원 수익
    같은 제품을 팔았는데도 수익이 더 많아지죠!

 그래서 환율이 오르면
수출기업(삼성전자, 현대차 등)의 이익 증가 기대
해당 기업 주가가 상승할 수 있어요

 

✔ 환율이 내릴 때 ( 원화 강세)

  • 원화의 가치가 올라서, 1달러를 바꾸는 데 적은 원화만 필요
  • 수출기업은 불리, 반대로 수입기업은 유리

예시:

  • 항공사는 항공유(기름값)를 달러로 결제합니다.
    • 항공유 1드럼 가격: 100달러
    💵 환율이 1,400원일 때
    → 100달러 × 1,400원 = 140,000원1드럼당 15,000원 비용 절감!
  • 💵 환율이 1,250원으로 하락하면?
    → 100달러 × 1,250원 = 125,000원
  • ✔ 환율이 하락하면
    연료비 부담이 줄어들고
    수익성 개선 → 주가 상승 기대

 그래서 환율이 떨어지면
수출기업 주가는 하락 가능,
→ 반대로 면세점·항공·여행 관련주는 오를 수도 있어요

실전 예시:
2023년 말 원/달러 환율이 안정되자,
티웨이항공, 아시아나항공, 신세계면세점 등은 주가가 강세를 보였어요.

 

3. 금리와 환율은 함께 움직일까요?

 

네, 금리와 환율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어요.
특히 미국과 한국의 금리 차이에 따라 환율이 크게 요동칩니다.

 

✔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?

  • 투자자 입장에서 → 미국에 돈을 넣으면 더 높은 이자(수익) 받게 됨
  • 그래서 달러 수요가 증가달러 강세 / 원화 약세 → 환율 상승

예시 : 
미국이 기준금리를 0.25% → 5%까지 빠르게 올렸던 2022년,
외국인 자금이 한국에서 빠져나가고 → 원/달러 환율은 1,400원 이상 급등
→ 한국 수입 기업들 주가 하락, 물가 상승 압박

 

✔ 한국이 금리를 올리면?

  • 우리나라에 투자할 매력이 생겨서 외국 자금 유입 → 원화 강세 → 환율 하락

예시 :
2023년 초, 한국은행이 연속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자

  • 환율이 안정세로 접어들고
  • 외국인 투자자들도 다시 국내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나타났어요.

 

 

미국 금리 인상 → 달러 강세 → 환율 상승 → 한국 증시에 부정적

한국 금리 인상 → 원화 강세 → 환율 하락 → 외국인 자금 유입 기대

 

이처럼 환율과 금리는 따로 움직이지 않고, 서로 얽혀서 주가와 시장 전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제 변수예요.

경제 뉴스나 금리 발표일에 이런 흐름을 잘 체크하면, 투자에 훨씬 더 유리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

 

 

정리하자면...

금리는 돈의 가격 → 금리 인상 시, 대출 부담 ↑ → 기업 실적 ↓ → 주가 하락 가능성
환율은 통화의 교환 비율 → 환율 상승 시, 수출기업 수익 ↑ → 주가 상승 가능성

 

 

따라서 주식 투자 전에는 '오늘 금리는 어떻지?', '환율은 어떤 흐름이지?' 를 꼭 체크해보세요!
다음 편 '보고 나면 재무제표가 눈에 들어옵니다! 기업 실적을 보는 법'  절대 놓치지 마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