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재테크•금융 상식

대출 상환 방식, 원금균등 vs 원리금균등… 당신에게 유리한 선택은?

by free600 2025. 4. 3.

 

 

1. 상환 방식이란?

대출을 받을 때, 단순히 '얼마를 빌릴지'만 생각하면 안 됩니다. 어떻게 갚을지, 즉 상환 방식도 매우 중요하죠.
같은 금액을 빌려도 상환 방식에 따라 매달 납입해야 할 금액과 총 이자 비용이 크게 달라집니다.

 

대출 상환 방식, 원금균등 vs 원리금균등

2. 원리금균등상환이란?

 

매달 같은 금액을 내는 방식입니다.
원금과 이자를 합친 금액이 매월 동일하게 나가죠.

  • 처음에는 이자가 많고 원금이 적게 상환되다가
  • 시간이 지날수록 원금 비중이 증가합니다.

📌 장점

  • 매달 납입금이 같아 예산 계획이 쉬움
  • 초반 부담이 적어 소득이 일정한 직장인에게 유리

📌 단점

  • 전체 이자 부담이 큼 (초기에 원금을 적게 갚기 때문)

 

3. 원금균등상환이란?

 

이 방식은 매달 갚는 원금은 같고, 여기에 남은 잔액에 대한 이자가 붙습니다.
그래서 초기 납입금이 크고, 점점 줄어듭니다.

 

📌 장점

  • 총 이자 부담이 적음
  • 빠르게 원금을 줄여서, 이후 부담이 줄어듬

📌 단점

  • 초반 납입금이 큼
  • 소득이 일정치 않거나 지출이 많은 초기에는 부담될 수 있음

 

4. 두 방식의 주요 차이점

구분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
매월 납입금 일정 점점 감소
초반 부담 낮음 높음
총 이자 높음 낮음
소득 안정성 일정한 사람에게 유리 여유 있는 사람에게 유리

 

5. 실제 사례 비교

 

예를 들어 5천만 원을 연 4% 이율로 10년(120개월) 동안 대출받는다고 해보죠.

  • 원리금균등상환
    • 매월 약 50만 6천 원
    • 총 납부 이자 약 1,070만 원
  • 원금균등상환
    • 첫 달 약 58만 원, 점점 줄어들어
    • 총 납부 이자 약 890만 원

👉 이처럼 원금균등이 이자를 180만 원 이상 아낄 수 있지만, 초기 부담은 더 큽니다.

 

6. 어떤 방식이 나에게 유리할까?

  • 소득이 일정하고 초반 여유가 없다면? → 원리금균등상환
  • 이자 줄이는 게 중요하고 초반 여유가 있다면? → 원금균등상환

예를 들어, 신혼부부가 전세자금 대출을 받을 경우에는 원리금균등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.
반면, 퇴직금 등으로 초기 목돈 상환이 가능한 경우에는 원금균등이 유리하죠.

 

7. 상환 방식 선택 시 체크리스트 

  • 매달 고정 수입이 있는가?
  • 초기 납입금이 부담되지 않는가?
  • 총 이자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가?
  • 대출 기간이 길어도 괜찮은가?

👉 이 네 가지 질문에 답하면서 내 상황을 잘 분석해보세요!

 

 

 

상환 방식은 단순한 선택이 아닙니다.
매달 부담, 총 이자, 생활 자금 계획까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죠.
초기 여유 vs 총 부담, 이 균형을 잘 따져보고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.
궁금한 점이 있다면 금융기관에 시뮬레이션을 요청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