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부•지자차 지원 제도

알바생 필독! 3.3% 세금 환급받는 초간단 방법 – 5분이면 신청 끝

by free600 2025. 5. 1.

 

알바를 하면서 월급 명세서를 받아본 분이라면 '3.3% 세금 공제'를 본 적 있을 거예요  우리가 흔히 말하는 ‘3.3% 세금’은 근로소득세가 아니라 사업소득세입니다. 대부분의 아르바이트는 고용 계약을 맺는 게 아니라, ‘프리랜서 계약’ 또는 ‘기타소득’ 형태로 처리되기 때문에 고용주가 원천징수로 3.3%를 미리 떼는 구조예요. 이 3.3%는 다시 나누면 소득세 3%와 지방소득세 0.3%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그럼 왜 이걸 돌려받을 수 있냐고요? 그건 1년 동안 벌어들인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세금이 과하게 징수되었기 때문이에요. 이런 경우 매년 5월 홈택스를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세금을 전액 또는 일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알바생 필독! 3.3% 세금 환급받는 초간단 방법 – 5분이면 신청 끝

1. 3.3% 세금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직종들

아래와 같은 일을 하면서 돈을 벌었고, 그때 3.3% 세금이 빠졌다면 당신도 환급 대상입니다:

  • 아르바이트: 고용계약 없이 일한 경우 (예: 일당 알바, 주급 알바)
  • 프리랜서: 디자이너, 영상 편집자, 강사, 작가, 콘텐츠 크리에이터 등
  • 외주계약자: 개발자, 마케터, 번역가, 통역가 등
  • 1인 사업자: 사업자등록 없이 용역 제공하는 경우
  • 기타 단기 용역: 리서치 조사원, 행사 도우미, 단기 촬영 등

이처럼 소득 형태가 ‘근로소득’이 아닌, ‘사업소득’이나 ‘기타소득’으로 처리되었다면 환급 대상이에요.

 

2.  소득공제? 기본공제? 이게 뭔데 환급에 영향을 주는 걸까?

우리가 세금을 낼 때, 버는 돈 전체(=총수입)에 대해 무조건 세금을 매기지는 않아요.
국가는 일정 금액까지는 “생활비로 쓴 거니까 세금 안 매길게요~” 하고 빼주는 제도가 있는데, 그게 바로 소득공제입니다.

가장 기본적인 공제 항목이 바로 기본공제 150만 원이에요.

 

 

3. 예시

예시 1) 총수입이 100만 원인 대학생 A씨

  • 3.3% 세금: 33,000원 원천징수
  • 소득공제: 150만 원까지 공제 가능
  • A씨는 총수입이 150만 원보다 작기 때문에 과세 대상 소득이 0원!
    👉 따라서 떼인 33,000원 전액 돌려받을 수 있어요.

 예시 2) 총수입이 500만 원인 프리랜서 B씨

  • 소득공제 150만 원 + 필요경비(예: 노트북, 교통비 등) 공제
  • 예를 들어 경비 150만 원 인정 시 → 과세 대상 소득은 200만 원
  • 세금은 조금 발생할 수 있지만, 이미 납부한 3.3%보다 적다면 일부 환급 가능

 

4. 홈택스에서 환급 신청하는 방법 (2025년 기준)

알바생 필독! 3.3% 세금 환급받는 초간단 방법 – 5분이면 신청 끝2

환급은 매년 5월 1일~31일, 홈택스를 통해 종합소득세 신고로 진행됩니다.
국세청이 제공하는 ‘간편신고 서비스’를 이용하면 5분이면 끝나요.

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:

  1. 홈택스 접속 → [로그인] (공동/간편 인증)
  2. [My 홈택스] → [종합소득세 신고]
  3. [간편 신고하기] 클릭
  4. 자동으로 불러온 소득 내역 확인
  5. 세금 환급 금액 확인 후 ‘제출’ 클릭

👉 꿀팁:
신고서 작성 중 ‘사업소득’ 항목에 3.3% 세금이 자동으로 뜨면 제대로 분류된 거예요!